티스토리 뷰
모바일 신분증’으로 국가 디지털전환 빨라진다
- 온오프라인 디지털 신원증명이 가능한 ‘모바일 신분증’으로 디지털 사회 가속화 -
□ 행정안전부(장관 진영)는 ‘모바일 신분증 도입 사업’을 추진하고 있으며 내년 초에는 ‘모바일 공무원증’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고 밝혔다.
□ 행정안전부는 그간 디지털정부 인증 서비스를 개선하기 위해 공공웹사이트를 대상으로 공인인증서 외에 생체·모바일 등의 인증수단을 추가로 제공하거나 대체해 왔고, 하나의 아이디로 공공웹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는 디지털원패스*를 구축하고 연계를 확대해 왔다.
디지털원패스 : 하나의 ID와 지문, 패턴 등 간편 인증수단으로 여러 공공웹사이트를 로그인할 수 있는 One-ID 서비스 디지털원패스 추진 성과(※ ’20. 9월, 누적기준) ◦ (‘18년) 33개 → (’19년) 84개 → (‘20년) 115개 |
○ 이러한 인증 서비스 개선 노력은 우리나라가 ‘2020 UN 전자정부 발전지수’ 2위를 차지한 데 이어 지난 10월 15일 발표된 ‘2020 OECD 디지털 정부 평가’ 1위를 달성하는데 기여하였다.
□ 행정안전부는 이러한 성과를 지속 발전시키기 위해, 디지털 전면 전환을 선도하는 모바일 신분증 사업을 추진 중이다.
○ 모바일 신분증은 온‧오프라인에서 디지털 신원증명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개념적(자기주권 강화), 기술적(DID기술 적용), 형태적(디지털 신분증), 활용적(온오프라인 통합) 측면에서 획기적인 변화가 예상된다.
○ 올해 공무원증 도입 사업을 시작으로 운전면허증, 장애인등록증 등으로 확대해나갈 계획이다.
□ 이와 관련, 내년 초에 공무원들이 모바일 공무원증을 발급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추진 중인 ‘모바일 공무원증 도입 사업’의 중간보고회를 10월 28일 개최한다.
○ 보고회에서는 △모바일 공무원증을 통한 정부세종청사, 서울청사 출입 절차 △공직자통합메일, 바로톡 등의 업무관리시스템 로그인 기능 △기타 도서관 등에서 활용방안 등이 논의될 예정이다.
○ 향후 점진적으로 도입할 예정인 모바일 운전면허증이나 모바일 장애인등록증도 이번에 구축하는 모바일 신분증 앱에 담겨질 계획으로, 이번 중간보고회는 모바일 신분증 사업의 초석이라 할 수 있다.
□ 신민필 행정안전부 디지털안전정책과장은 “모바일 신분증은 기존 신원증명의 패러다임을 180도 바꾸는 혁신적인 서비스”라고 강조하였다.
○ 아울러 “공무원증을 시작으로 모바일 신분증이 하나씩 추가될 때마다 정부나 기업은 각 신분증에 특화된 또는 여러 신분증을 결합하여 이용하는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를 개발하여 제공하게 될 것”이라며,
○ “모바일 신분증 도입이 국내 디지털 생태계 활성화는 물론 DID 기술 분야에서 국제 표준을 선도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.”고 말했다.
'정책공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BMW, FCA, 아우디, 재규어, 벤츠, 스즈키결함시정(리콜) 실시 (0) | 2020.10.29 |
---|---|
반정 아이파크 캐슬 5단지 서울시 장애인 특별공급 '입주자모집공고일 등' 2차 연기 안내 (0) | 2020.10.27 |
주민등록번호 유출 피해자, 주민등록번호 변경 심사 빨라진다 (0) | 2020.10.27 |
주민등록법 일부개정안 주요 내용(2020.10.26) (0) | 2020.10.27 |
증평군 공사중단 아파트, 지역주민 위한 생활 SOC으로 탈바꿈 (0) | 2020.10.23 |